지역격차 완화 프로젝트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사회적 약자를 위한 디지털 서비스를 구현하는 등 사회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디지털 기술 활용 문제해결 역량을 강화하여 지역격차 완화에 이바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사회적 약자를 위한 디지털 서비스를 구현하는 등 사회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디지털 기술 활용 문제해결 역량을 강화하여 지역격차 완화에 이바지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지역발전의 중요 토대인 디지털 인프라 및 활용역량의 지역 간 격차가 심화되고 있음
○ 지역 내에서도 장애인, 장노년, 저소득층, 농어민, 북한이탈주민, 결혼이민자 등 사회적 약자의 디지털 접근성 및 활용역량 격차 존재
○ (민관협업) 지역 주민, 공공기관, 기술 전문가 및 혁신기관이 협력하는 민관협업조직* 구성을 통해 지역 현안 발굴 및 실행, 평가
○ (주민참여) 프로젝트 수행 全 과정을 시민 및 정책수요 당사자 참여를 통해 “문제분석, 해법연구, 개발과 검증 및 제도개선·건의 등”으로 진행
○ (적정기술) 지역 현안을 해결하는 데에 효율·효과적인 기술을 활용
○ (지식공유) 프로젝트 수행 전반의 과정과 해결방안에 대한 지식을 구체적으로 기록하여 공동 지식 기반 마련 및 확산
○ (역량강화) 지역 주민 및 사업 수행 민관협업조직의 디지털 활용 역량이 강화될 수 있도록 전문가 멘토링·컨설팅을 체계적으로 지원
○ (내용) 주민 참여를 기반으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지역현안을 발굴하고 해결하는 과제를 지원하는 공모사업
① 서비스격차 완화 분야 : 장애인, 아동, 다문화가정, 홀몸 어르신 및 사회적 약자 누구나 접근·활용이 가능한 지역사회 서비스 구축을 통해 격차 완화
< 사례 : 제주특별자치도, 무장애 여행 데이터 구축 및 콘텐츠 확산 >
- (배경) 장애인들의 여행에 대한 욕구 증가하나 체계적인 콘텐츠, 가이드, 프로그램 부재
- (내용) 주민 및 사회적기업 참여를 통해 무장애 여행 데이터 구축 및 제주데이터 허브에 등록, 무장애 여행 및 도보 여행 관련 콘텐츠 마련·확산
- 2018 주민체감형 디지털 사회혁신 활성화(공감e가득) 발굴 과제
② 정보기반격차 완화 분야 : 생활에 밀접하고 중요한 문제를 측정해 데이터 구축·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 지원 등을 통해 기반격차 완화
< 사례 : 멕시코시티 매파톤 >
- (배경) 거대한 공공버스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나 교통 데이터와 노선도 등 부재
- (내용) 2주간 4천명 이상의 시민들이 참여해 1500개 이상의 버스 경로 오픈 데이터 수집/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커톤 개최해 정보기반 마련
구 분 | 수행 지역 | 사 업 | 수행기관(컨소시엄) |
---|---|---|---|
서비스기반격차 완화 | 서울특별시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시립서북병원(결핵관리병원) | |
서울 성동구 | ㈜플레이포라이프, 서울 성동구청, 성동느티나무장애인자립생활센터 | ||
부산 사하구 | 다문화가족 관련, 사람책 도서관 플랫폼 |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산 사하구청, 앤시정보기술(주), 한국메이커융합협동조합 | |
정보기반격차 완화 | 광주광역시 | 마을e척척, 지역문제 해결 중심의 마을리빙랩 플랫폼 | (사)광주광역시도시재생공동체센터, 광주광역시, ㈜엔유비즈, ㈜더킹핀 |
부산광역시 | 부산광역시 학생 및 아동 구강건강 불평등 해소를 위한 스마트 덴탈케어 | 부산광역시(건강정책과), ㈜카이아이컴퍼니 | |
세종특별시 | 지역복지 정보격차 완화를 위한 ‘복지자원플랫폼’ 구축 | (재)세종시복지재단, 세종특별자치시, 플랜아이 | |
기타 지역문제해결 | 경기 파주시 | 송학길 스마트 안심 귀갓길 조성사업 | 이노뎁(주), 경기도 파주시청 |
서울 강동구 | 지역소통 활성화를 위한O2O 디지털 마을 알림판 | 주식회사 오늘의이야기, 서울 강동구청, 지역청년컨텐츠 제작자 |
○ 지역 주민, 공공기관, 기술 전문가 및 혁신기관이 협력하는 민관협업을 통해 지역 현안 발굴 및 실행, 평가함으로써 실제 현안 해결 및 격차 완화에 기여
○ 지역 주민 및 사업 수행 민관협업조직의 디지털 활용 역량이 강화되어 지역격차 완화에 이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