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젝트명
-
시민을 위한 공간 조성을 통한 지속적인 시민문제해결 플랫폼 확보
- 분류/키워드
- 경험부족공간공용공간리빙랩소셜다이닝시민주도실험칸막이커뮤니티코워킹플랫폼
- 챌린저
- 대구시민센터
- 협력
- 대구광역시
우리가 해결할 지역 문제
우리는 다음과 같은 문제에 주목합니다.
- 시민이 사회문제에 관심을 갖더라도 이를 해결할 기회와 자원(공간, 경험)이 부족합니다.
- 또한 기존의 지역사회가 보유한 자원들도 연계가 되지 않는 상황입니다.
우리는 아래와 같이 분석합니다.
- 사회 문제에 대한 시민의 관심과 참여의 의지가 부족하다고 하지만 사실 부족한 것은 시민의 의지가 아닌, 시민이 함께 문제해결을 위한 활동을 할 공간(플랫폼)입니다.
시민주도의 문제해결 플랫폼(공간)을 조성해서 지역사회 문제에 관심을 갖고 참여하려는 의지가 있는 시민이 협력하고 실험하는 활동을 지속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해결 방법
우리는 다음과 같은 활동을 펼칩니다.
1 ) 공간조성 (서울 헤이그라운드 참조. www.heyground.com)
- 사무공간 : 코워킹 스페이스 20~30석, 협업공간 10개소(성장단계에 따른 오피스)
- 커뮤니티 공간 : 소셜다이닝(공용주방), 휴게/수면 공간, 라운지, 커피바
- 공용공간 : 다목적홀 및 세미나룸(파티션을 통한 다양한 공간 조성) / 공유서가
2)리빙랩운영
- 단계별 프로젝트 지원 : 문제정의(인식 및 원인분석)→솔루션개발(프로토타입)→실험/패드백 반복→스케일업→확산 및 정책제안 등의 과정을 설계하고 단계별 프로젝트팀 지원 및 컨설팅
- 각 프로젝트의 ‘협업을 통한 문제해결(collective impact)’를 위한 촉진자 역할 수행
3)온라인플랫폼 구축 및 운영
- 문제해결을 위한 자원연계 : 공간과 사람과 돈을 연결하기 위한 플랫폼 제공
- 아카이빙 : 모든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을 기록하고 저장, 공유
이를 위해 다양한 분야와 연계하고 협업합니다.
- 사회혁신활동 영역 간 연계 : 사회적경제, 도시재생, 마을공동체, 청년 등
- 코워킹스페이스를 통한 다양한 컨텐츠생산자(개발자, 디자이너, 예술가)의 만남
- 문제해결을 위한 전문가 연계 : 연구자, 기술자, 공익활동가, 기획자
- 자원연계 : 대구시 담당부서 공무원, 사회적 가치(CSR) 관심 기업 사회공헌 담당자
우리가 만들 변화
- 정부 : 시민 스스로가 문제를 해결하는 사례와 모델을 통해 정책을 개발할 경우 많은 행정비용을 감소시키고 시민의 효능감을 증대시킬 수 있습다.
- 기업 : 기업이 시민과 문제해결 과정에 동참할 경우 기업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한다. 특히 혁신적 공간이 지역의 랜드마크가 될 경우 기업의 투자수익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예: 서울 헤이그라운드)
- 시민 : 시민 스스로가 문제해결을 시도하고, 그 성과를 저장하고 축적하는 과정을 통해 시민역량이 증가하고 시민의식이 고취될 수 있습니다.
현장 투표
이 프로젝트는 현장 투표에서 88표를 얻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