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지역혁신
디지털·과학 기술을 활용해 주민, 전문가, 지자체가 함께 지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디지털·과학 기술을 활용해 주민, 전문가, 지자체가 함께 지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디지털 사회혁신(Digital Social Innovation) : 디지털 기술을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효율·효과성, 공공투명성을 증진하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
* 정부주도·공급자 중심에서 벗어나 민관협력·수요자 중심의 새로운 지역혁신 모델 발굴·확산
– 지역격차 완화(민간공모) :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정보기반격차, 서비스격차를 완화하도록 지원하여 지역역량 불균형 해소 및 지역혁신 사례 발굴
* (사례) 학생 및 아동 구강건강정보 축적 및 개인 맞춤형 구강관리(부산)결핵환자 복약 및 산소포화도 측정 등 퇴원 후 건강관리를 위한 챗봇 등(서울)
– 시민안전 확보(지자체 공모) : 교통사고, 대규모 화재, 생활안전(낙상, 감전, 익수 등), 귀갓길 여성 대상 범죄 등의 주민 불안요인 해소 및 시민안전 확보 추진
* (사례) 어린이 등 보행안전 취약계층의 횡단보도 사고방지(서울 동작, 세종) 빠른 화재 진압을 위한 소방차 골목 진입로 확보·개선(서울 성동)
– 환경문제, 주민복지, 시민소통 등과 관련한 지역사회 현안을 주민과 지자체가 협업하여 디지털 기술로 해결 및 확산하도록 지원
* (사례) 독거노인 안전돌봄(’18년 전남 장성 → ’19년 전남 신안 확산) 무장애 여행 데이터 및 서비스 구축(’18년 제주 → ’19년 충북, 광주 남구 확산)
– 과학기술 기반 지역 현안문제 해결 협력사업 : 연구자와 주민이 직접 소통하며 지역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부처 협업을 통해 새로운 지역혁신 기반 창출
* (‘19년) 지역현안 발굴 및 문제기획리빙랩 운영 → (’20년) R&D 및 후속 적용·확산 추진
○ 디지털·과학 기술을 활용한 지역문제해결 및 문제해결 역량강화
○ 주민참여 민관협업 지역문제해결 거버넌스 구축
○ 새로운 지역혁신 모델과 협력기반 마련 및 디지털 지역혁신 생태계 활성화